구글 지도 만들기 방법

반응형

어디를 가거나 위치를 공유 할때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구글지도 등을 이용해서 많이 사용을 하실텐데요. 구글지도의 경우에는 나만의 지도를 만들어서 공유를 할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지도 만들기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려고 하는데요. 혹시 개인적으로 지도를 이용해서 무언가 만드고 싶으시다면 구글 지도를 이용해서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구글 지도 만들기를 위해서는 구글 지도에 접속을 하셔야 하는데요. 구글 지도에 접속을 하시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를 보실수가 있을텐데요. 지도의 왼쪽 상단에 보시면 메뉴를 열어 볼수 있는 아이콘이 있을거에요. 그 아이콘을 클릭 하시면 구글 지도에서 사용할수 있는 여러개의 메뉴가 나오게 될텐데요. 이 메뉴 에서 지도 만들기를 찾아 볼수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메뉴들중에서 지도 만들기를 위해서는 "내 장소" 를 클릭 하시면 되는데요. 내 장소에서는 내가 저장해 놓은 장소나 방문한 장소 등과 지도항목도 있는데 지도 항목에서 내 지도를 생성해서 새로운 지도를 만들수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새로운 지도라는건 기존 구글지도 위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를 하거나 구역이나 정보를 넣는것을 말합니다.

아래와 같이 내 장소에는 위에서 언급했던것과 같이 "라벨이 지정됨", "저장됨", "방문한 장소", "지도" 등의 4가지 하위 메뉴가 보이는데요. 여기에서 "지도" 메뉴를 클릭해 보시면 아래와 같이 하단에 "지도 만들기" 라는 메뉴가 보이시고 만약에 기존에 지도를 만드셨다면 만드신 지도 목록이 보여지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지도 만들기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는 중이며, 하단에 "지도 만들기" 를 클릭 하시면 지도를 만들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전환이 됩니다.

인터페이스는 몇번 사용해 보시면 쉽게 이해할수 있는데요. 왼쪽 상단에는 지도위에 표시된 레이어 들과 추가한 항목들이 보여지고 레이어를 선택하시면 검색어 입력칸 바로 아래에 보이시는 것처럼 추가 할수 있는 항목들의 아이콘이 보입니다. 선을 그어서 구역을 만들거나 위치에 대한 설명과 관련 내용을 추가 할수 있는 항복들도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레이어에 필요한 항목들을 추가 하면서 나만의 지도를 만들어 가시면 되는데요.

아래에는 2018년 벚꽃 개화시기를 지도에 표시 하면서 만든걸 캡쳐한겁니다. 이런 식으로 지도위에 나만의 구역이나 위치 장소 등을 원하는 모양으로 추가를 할수가 있습니다. 

이상 구글지도의 기능중에 하나인 지도 만들기를 이용해서 나만의 지도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 보았습니다. 혹시 구글지도 만들기 방법이 궁굼하신 분들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