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발바닥 통증의 원인이 되는 지간신경종에 대해 알아보고, 한방치료의 효과와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지간신경종은 발가락 사이에 있는 신경이 압박되어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볼이 좁은 신발이나 무지 외반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지간신경종은 통증 외에도 저림, 감각상실, 자갈같은 느낌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재발이 쉬운 편입니다. 그래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간신경종의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고, 한방치료로 어떻게 치료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지간신경종의 원인과 증상
지간신경종은 발가락 사이에 있는 신경이 압박되어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발가락으로 향하는 신경은 발가락 뿌리 부분에서 신경 주위 조직 섬유화에 의해 압박되면서 전족부 통증 및 저림 등을 일으킵니다. 지간신경종은 주로 세 번째와 네 번째 발가락 사이에서 발생하지만, 다른 발가락 사이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지간신경종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 신발을 꼽을 수 있습니다. 볼이 좁은 신발, 예컨대 하이힐이나 구두 같은 것을 신다 보면 신경이 계속 눌리고 두꺼워지는데,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지간신경종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그래서 지간신경종이 의심될 때에는 신발부터 바꾸어 봐야 합니다. 발볼이 넓은 신발과 중족골 패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무지 외반증이 지간신경종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지 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휘어져서 발가락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질환입니다. 무지 외반증 환자는 엄지발가락에 체중을 실을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발가락으로 향하는 신경에 압박을 받아 부어오르고, 그로 인해 발바닥 통증을 유발하는 지간신경종이 생기게 됩니다.
지간신경종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행 시 앞 발바닥에 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집니다.
- 발가락이 저리거나 감각이 없습니다.
- 자갈 위를 걷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 볼이 좁은 하이힐이나 구두를 신었을 때 앞 발바닥에 통증이 심합니다.
- 껌딱지나 돌멩이 같은 것이 발밑에 있는 느낌이 듭니다.
지간신경종은 통증 외에도 발가락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보행 자세를 불균형하게 만들어 다른 관절에도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통증이 심하거나 지속되면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지간신경종의 한방치료
지간신경종의 한방치료는 신경 주위 조직 섬유화로 압박된 신경과 그 주변 조직의 유착을 박리하고, 염증과 통증을 제어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한방치료로는 침 치료, 약침 치료, 한약 등이 대표적입니다.
침 치료
침 치료는 섬유화를 해결하기 위해 경혈점에 침을 놓은 상태에서 발바닥 부위를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치료 방법입니다. 침은 신경 주위 조직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염증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침 치료는 발바닥뿐만 아니라 다리와 허리 등의 관련된 부위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약침 치료
약침 치료는 섬유화의 주된 원인이 되는 노폐물과 죽은 피 (어혈)를 해결하고자 경혈점에 정제된 한약재를 투입하는 치료를 말합니다. 약침은 신경 주위 조직의 섬유화를 분해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염증과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약침 치료는 발바닥뿐만 아니라 다리와 허리 등의 관련된 부위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한약
한약은 죽은 피인 어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주는 천궁, 신허, 당귀와 긴장된 근육을 푸는 데 도움을 주는 작약 등의 약제를 활용한 치료 방법입니다. 한약은 신경 주위 조직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염증과 통증을 감소시키고, 근육과 인대의 이완을 돕습니다. 한약은 복용 뿐만 아니라 발목이나 발바닥에 바르거나 증류수로 만든 스프레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간신경종의 스트레칭과 운동
지간신경종의 스트레칭과 운동은 신경 주위 조직의 섬유화를 분해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염증과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스트레칭과 운동은 병원에서 받는 치료와 병행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다음은 지간신경종에 좋은 스트레칭과 운동 방법입니다.
스트레칭
스트레칭은 발바닥과 종아리 근육을 이완시키고, 신경에 가해지는 압박을 줄여주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스트레칭은 하루에 2~3회, 각 동작을 15~30초씩 유지하면서 수행합니다. 스트레칭 중 통증이 심해지면 즉시 중단하고, 의사와 상담하세요. 다음은 지간신경종에 좋은 스트레칭 방법입니다.
- 수건 쥐기: 바닥에 수건을 깔고 발을 올려놓습니다. 발가락으로 수건을 쥐어 15초간 유지합니다. 이 동작은 발바닥 아치를 형성하는 무지내전근을 강화시킵니다1.
- 벽 스트레칭: 벽을 마주한 상태에서 두 팔로 벽을 지지합니다. 한쪽 다리를 뒤로 쭉 뻗은 상태로 앞에 있는 다리를 45도 각도로 굽혀줍니다. 뒤에 있는 다리는 무릎을 굽히지 않고, 뒤꿈치가 바닥에 붙어 있어야 합니다. 종아리가 당겨지는 상태로 30초간 유지합니다1.
- 수건 스트레칭: 두 발을 펴고 앉아줍니다. 한 발에 수건이나 스트레칭 밴드를 걸어 몸 쪽으로 잡아당겨줍니다. 이때 무릎이 굽혀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합니다. 종아리가 당겨지는 상태로 30초간 유지합니다1.
- 계단 스트레칭: 계단 위에 올라서 한쪽 발은 볼 부분이 계단 끝에 위치하게 합니다. 그 발의 뒤꿈치를 아래쪽으로 천천히 내려줍니다. 이때 무릎이 굽혀지지 않게 주의합니다. 허벅지와 아킬레스건이 당겨지는 상태로 30초 유지합니다1.
운동
운동은 발바닥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신경 주위 조직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근육과 인대의 탄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운동은 하루에 30분 이상, 주 3~5회 정도 수행합니다. 운동 중 통증이 심해지면 즉시 중단하고, 의사와 상담하세요. 다음은 지간신경종에 좋은 운동 방법입니다.
- 수영: 수영은 발바닥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전신의 근력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운동입니다. 수영은 지간신경종뿐만 아니라 다른 족부 질환에도 좋습니다2.
- 자전거: 자전거는 발바닥과 종아리 근육을 움직이면서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운동입니다. 자전거는 지간신경종의 원인이 되는 볼이 좁은 신발이나 무리한 운동을 피하면서도 발바닥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운동입니다3.
- 발가락 운동: 발가락 운동은 발바닥 아치를 형성하는 무지내전근을 강화시키는 운동입니다. 발가락 운동은 의자에 앉아 양발 사이에 주먹 하나 들어갈 정도의 간격을 둡니다. 다음으로 양쪽 엄지발가락만을 붙입니다. 그 상태에서 발가락을 힘껏 말고, 발뒤꿈치를 올리고 5초간 유지합니다4.
마치며
지간신경종은 발가락 사이에 있는 신경이 압박되어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볼이 좁은 신발이나 무지 외반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지간신경종은 통증 외에도 저림, 감각상실, 자갈같은 느낌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재발이 쉬운 편입니다. 그래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간신경종의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고, 한방치료로 어떻게 치료할 수 있는지, 스트레칭과 운동으로 어떻게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지간신경종은 한 번 발생하면 재발이 쉬운 질환입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간신경종의 예방 방법은 볼이 넓고 굽이 낮은 신발을 착용하고, 중족골 패드나 발가락 사이 쿠션 등을 사용하고, 스트레칭과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입니다. 만약 통증이 심하거나 지속되면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